반응형

 저는 한국 나이로 50세입니다.

 과거에는 무엇인가를 이루기 위해 태어난 사람처럼 살기도 했었지만 현재에는 어쩔 수 없이 태어난 사람처럼 살아가고 있습니다. 한국 나이로 50세가 되어 인생을 돌아보니 이 세상에 태어난 것은 행운이었다기보다는 불운이었다는 결론에 이르게 됩니다.

 혐오스러운 세상(병든 헬조선, 현대판 노예제)과 혐오스러운 사람들(상태 안 좋은 남녀노소 인간들)과 혐오스러운 자신(동물성 육체와 본능)을 생각할 때면 그렇습니다. 그리고 인구 대감축, 강제 대초기화, 디지털 노예화라는 디스토피아로 치닫고 있는 세상을 바라보면 더욱 그렇습니다.

 만일 제가 이 세상에 태어나지 않았다면 아무런 가치가 없는, 쓰레기 같은 경험들을 하지 않아도 되었을 것이고 가해자 또는 피해자가 되어 사람들과 만나지 않아도 되었을 테니까요. 이런 저는 돌아가고 싶은 시절이 없고 다시 만나고 싶은 사람도 없습니다. 다행히도 저는 비혼과 무자식과 무지인이라는 행운을 선택하였고 태어난 불운을 완화하며 그럭저럭 살아가고 있습니다.

 낳은 사람 개고생, 나온 사람 개고생...

 이런 저로선 부모님이 낳아주신 것에 대해 원망하는 마음이 듭니다만... 어려운 형편 속에서 책임감을 가지고 지금까지 애써 키워주신 것에 대해선 감사하는 마음이 들기도 합니다.

 내세에 관련된 가르침들에 따르면 출생은 신이 강제하기도 하지만 오감을 체험할 육체를 간절히 바라는 자신이 선택하기도 한다고 합니다. 그래서 출생의 정확한 이유는 죽은 후에야 비로소 알 수 있는 것이기에 원망의 마음은 덮어두고 부모님의 노고에 보답하고 부모님의 노후를 잘 돕는 것을 저의 여생의 목표로 삼고 살아가고 있습니다.

 그리고 부모님에 대한 과제를 끝낸 후 제가 원하는 때에 고통 없이 세상을 떠나는 것을 인생의 마지막 행운이자 목표로 삼고 있습니다.

 * 관련 글 : 세상에 태어난 이유
 * 관련 글 : 무의미한 인생
 * 관련 글 : 동물적인 인생
 * 관련 글 : 테스형! 세상이 왜 이래? 인간들이 왜 이래? 나는 왜 이래?
 * 관련 글 : 혐세, 혐인, 혐아
 * 관련 글 : 내가 비혼과 무자식을 선택한 이유
 * 관련 글 : 현대 노예론
 * 관련 글 : 참새처럼 경차처럼 살기
 * 관련 글 : 인간 농장에 IT 봉건주의 디스토피아가 도래한다.
 * 관련 글 : 자살할 권리
 * 관련 글 : 혐세, 혐인, 혐아로 인한 안락사 계획
 * 관련 글 : 다시 태어날 육체는 품절이 아니라 단종이 되어야만 한다!
 * 관련 글 : 이상향, 이상체
 * 관련 뉴스 : "내 삶을 맺을 권리"...스위스 편도 끊는 사람들

AND

반응형

 '낳은 사람 개고생! 나온 사람 개고생!'

 태어나 살아갈 가치가 없는 인간 농장... 애초에 안 태어나는 게 답이었는데 어쩔 수 없이 태어났다면 비혼과 무자식으로 혼자 살다 혼자 죽는 게 답이라고 저는 생각합니다.

 * 관련 기사 : 아이 낳지 마십시오!"... 저출생, 가습기 그리고 이태원

AND

반응형

 저는, 저급한 물질세계에 동물성 육체와 본능에 갇혀 태어나 생존과 번식과 양육을 위해 가해자와 피해자가 되어 고통을 주고받으며 살아가야 하는 이 세상이 저의 성향과 맞지 않다는 생각을 항상 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아무리 생각해 봐도 이 세상은 태어나 살아갈 만한 가치가 별로 없는 것 같습니다.

 혐세(세상을 혐오함), 혐인(사람을 혐오함), 혐아(나를 혐오함)

 이런 신념을 가지게 된 제 마음의 진심은 하루라도 빨리 세상과 사람과 나로부터 떠나는 것이지만... 타고난 본능이었건 사회적인 세뇌이었건 저를 낳고 길러준 부모의 은혜만큼은 효도로써 갚아드리고 난 후에 떠나는 것이 옳다는 생각에 안락사를 훗날로 보류하고 있습니다.

 이런 신념과 계획을 가진 저에겐 세상과 사람과 나에 대한 애착이나 욕심 따위가 있을 수 없지만… 부모에 대한 과제를 완수하기 위해 기본적인 수준의 애착과 욕심을 가지고 참새처럼, 경차처럼 인생을 살아가고 있을 뿐입니다. (저는 참새처럼, 경차처럼 인생을 가볍게 살아가기 위해 마누라와 자식이 없는 비혼을 선택했고 선배와 친구와 후배와 친척이 없는 무인간관계를 선택했고 대출과 세금이 없는 무주택을 선택했고 조직생활에서 자유로운 긱 워커를 선택했습니다.)

 앞으로 세월이 흘러 부모에 대한 과제를 완수하고 저에게 적절한 선택의 시점이 온다면 빈곤과 노화와 병마에 시달리며 주변에 민폐 끼치는 일없이 안락사로 인생을 초깔끔하게 마무리지을 생각입니다.

 그 마지막 선택의 시점까지는 저에게 안전과 건강과 풍요와 평화와 자유가 계속 유지되어야 합니다.

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