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저와 비슷한 성향과 고통을 가진, 젊은 여자가 저에게 애정을 고백해 왔습니다. 이성 교제가 간절했던 번식기를 지나서 이제야 나타나다니...

 저는 솔직히 그 여자의 존재가 반가웠고 그 여자의 고백이 눈물 나게 뭉클했고 또 감사했습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세상은 인구 대감축, 디지털 노예화, 강제 대초기화라는 디스토피아로 치닫고 있고 이 목적을 위해 인간의 육체는 오염되어 버렸고 정신은 병들어 버렸습니다.

 그리고 혐세(세상을 혐오), 혐인(사람을 혐오), 혐아(나를 혐오)로 구성된 염세주의와 비혼주의와 비출생주의를 신념으로 가진 제가 뒤늦게 이성을 만나 ‘연애 → 결혼 → 번식’이라는 본능의 길로 가게 된다면 자신에 대한 변절자, 전향자가 되어 평생을 후회와 심적 고통 속에 살아가게 될 것입니다.

 게다가 저는 결정적으로 인생의 황금기와 번식기를 지나버린 탓에 낮일과 밤일 능력이 감소하고 퇴화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점점 늘어나는 지출과 요구를 감당할 능력이 없습니다.

 그 여자에게 참 고맙지만... 미안하다고 말하고 싶습니다.

AND

반응형

 만물의 영장이라고 하는 인간이지만 동물성 육체와 본능을 타고난 탓에 번식 본능에 지배받으며 일생을 살아가게 됩니다. 인간의 일생을 열등한 동물의 일생과 비교해 보면 별다를 게 없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

 예를 들어 새의 일생을 인간의 일생과 비교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 새의 일생 : 수컷은 둥지를 짓고 우월한 깃털을 이용하여 암컷을 유혹하여 경쟁자를 제치고 짝짓기에 성공합니다. 이후 둥지에 알을 낳고 부화시키고 나면 수컷과 암컷은 부지런히 먹이를 물어와 새끼를 키워서 독립시킵니다.

- 인간의 일생 : 남성은 아파트를 사고 우월한 육체와 학벌과 직업과 연봉과 자동차와 선물 등으로 어리고 건강한 여성을 유혹하여 경쟁자를 제치고 결혼에 성공합니다. 이후 아파트에 아이를 낳고 나면 남성과 여성은 부지런히 맞벌이를 하여 자녀를 키워 독립시킵니다.

 그리고 남성이 자녀를 낳기에 좋은, 어리고 건강한 여성에게 번식 욕구를 느끼는 것이나 여성이 기생하기에 좋은, 우월한 남자에게 끌리는 것은 번식 본능의 발현입니다.

 그리고 결혼과 출산이 마무리된 후 나이가 들어갈수록 남성은 성욕이 감소하게 되고 여성은 폐경을 하게 됩니다. 특히 출산 후 여성은 출산 전의 앳된 얼굴과 굴곡진 몸이 점차 탄력을 잃고 변화되어 더 이상 번식기에 있는 남성들의 욕구를 자극하지 않게끔 변화되는데 이는 자녀의 양육에 방해받지 않도록 계획된 번식 본능의 발현이라고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저는 이런 번식 본능에 휘둘리지 않고 주체적인 일생을 살고 싶습니다.

 (참고로 저는 비혼주의자로서 지금까지 연애 경험이 없고 결혼을 하지 않았고 자녀가 없습니다. 그리고 본능의 극복을 통하여 회춘하기 위한 4년 간의 금욕 경험도 가지고 있습니다. 남은 인생 역시 비혼주의자로 살아갈 각오입니다.)

AND

희망의 용도

세계 2010. 11. 19. 20:25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희망은 삶의 변화와 보람을 원하는 우리의 선택이지만, 지배층에게 그것은 현실의 망각을 통한, 충성도 높은 노예양성과 지속적인 착취를 가능하게 해주는 도구이기도 합니다.

 * 관련 기사 : 서울서 내 집 마련, 한 푼 안 쓰고 11.7년 모아야.
 * 관련 기사 : 30代, 25년간 월 60만 원씩 저축해야 은퇴자금 4억 만든다.
AND

세상에 태어난 이유

인간 2010. 11. 13. 01:56
반응형

 출생의 고귀한 이유와 가치에 대하여 다양한 의견들이 있습니다만, 현실적으로 출생은 성교라는 쾌락행동의 부산물로서, 결혼계약의 유지를 위한 볼모와 국가와 가정경제를 떠받치기 위한 노동력의 확보와 노후생활의 대비를 위한 보험의 필요성 등의 이유로 세상에 쏟아져 나오고 있습니다.

 * 관련 기사 : 세계인구 하루 21만 7천 명씩 증가.
 * 관련 글 : 많은 것을 배우고 경험하기 위해 태어났다 - 김영우와 함께 하는 전생여행.
 * 관련 글 : 남을 돕기 위해 태어났다. - 침례교 목사 러셀 H. 콘웰.
 * 관련 글 : 민족중흥의 역사적 사명을 띠고 이 땅에 태어났다. - 대한민국 국민교육헌장.
 * 관련 글 : 일하기 위해 태어난 것이다 - 포드 자동차 창업자 헨리 포드.
 * 관련 글 : 쇼핑하기 위해 태어났다. - 경제학자 줄리엣 B. 쇼어.
 * 관련 글 : 태어난 이유는 그가 태어난 이유를 알기 위해서다. - 동화작가 미야자와 겐지.
 * 부산물[副産物] : [명사] 어떤 일을 할 때에 부수적으로 생기는 일이나 현상.
 * 볼모 : [명사] 약속 이행의 담보로 상대편에 잡혀 두는 사람이나 물건.

AND